1988년 10월 15일 | 韓國中蘇經濟學會 창립. |
---|---|
1989년∼1991년 | 학회지 『中蘇經濟硏究』창간호(1989), 제2호(1991) 발간. |
1992년 4월 11일 | 韓國北方經濟學會로 학회 명칭 변경. |
1992년∼1995년 | 학회지 명칭 변경 『北方經濟硏究』제3호(1992), 제4호(1993), 제5호(1994), 제6호(1995) 발간. |
1995년 6월 15일 | 韓國北方經濟學會와 韓國東北亞經濟硏究會 통합 韓國東北亞經濟學會로 학회 명칭 변경 |
창 립 취 지 문
이제 21세기는 구시대 이데올리기의 첨예한 대립과 갈등의 낡은 껍질을 벗고 경제와 기술 중심의 협력과 경쟁시대를 열면서 다가오고 있다. 과거 동서 대립과 갈등으로 점철되었던 동북아는 21세기를 주도할 역동적 발전과 도약의 중심지이다. 이미 세계의 경제적 중심지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이 되었고 동북아는 그 중핵적 위치에 자리 매김하고 있다. 앞으로 동북아는 변화 발전의 가능성과 잠재력에서 단연 세계의 선두에 설 것이다. 21세기 세계경제의 네 축을 미국,유럽연합,일본 및 중국으로 볼때 세개의 축이 직접 간접으로 동북아에 있다. 세계 선진국들이 미래의 최대 경제강국으로 여기는 중국과 오늘의 경제대국 일본이 동북아에 자리하고, 이 시대 초강국 미국은 동북아의 이해당사국으로서의 기득권을 보존하려고 힘을 모으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옛소련을 승계한 러시아는 동북아와 유럽을 잇는 영토대국이며, 몽골 또한 동북아와 유라시아의 길목임을 자처하고, 동남아와 태평양 국들도 동북아와의 경제적 유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동북아에서 한국의 역할 증대가 필연적으로 한반도 통일은 동북아시아의 협력 구도와 결코 따로일 수 없다. 그러기에 한민족의 발전은 동북아지역의 변화 발전과 더욱 밀접히 맥을 같이하게 되리라는 것이 우리의 인식이다. 이렇듯 동북아의 떠오름이 우리 민족 발전에 직결되어 있기에 동북아지역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정보의 축적, 그리고 그의 국내외적 교류는 과거보다 현재에, 그리고 현재보다 미래에 더욱 절실하다 아니할 수 없다.
우리는 전세계 사회주의권을 북방지역으로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그것은 사회주의권을 대표하는 동북아의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이 우리의 북방지역이기 때문이다. 북방경제를 연구해온 우리는 동북아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지역을 결코 외면하지 않는다. 사회주의권의 시장경제체제이행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우리에게 동북아에 속하지 ㅇ낳는 인도차이나 3국과 동유럽 국가들 역시 여전히 중요한 관심 지역이다. 동북아 사회주의 국가들의 시장경제를 연구하면서 세계의 다른 옛 사회주의권의 변화를 주시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북방경제와 동북아경제를 연구해 온 우리는 적지 않은 학문적 시각을 공유하면서도 각기 다른 학회와 연구회를 조직하여 연구의 노력을 분산시켜 왔다. 지식산업사회, 조직화사회 및 지구촌화사회로 통합되어가는 21세기의 새 시대는 동일 학문분야뿐만 아니라 학제적 통합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21세기의 새로운 시대적 안목에서 한국북방경제학회와 한국동북아경제연구회를 한국동북아경제학회로 과감히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세계지역경제연구의 중심적 학회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 한국동북아경제학회는 두 학회의 사명을 계승하여 동북아와 북방지역의 경제를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의 전문적 연구와 그에 관련된 학술활동 및 교류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학문의 발전과 아울러 우리 민족경제의 번영 및 동북아와 옛 사회주의권뿐만 아니라 나아가 세계적 경제협력의 기반확대에 기여할 것을 다짐하는 바이다.
1995년 6월 15일
1996년 | 학회지 『北方經濟硏究』제7호(1996) 발간 |
---|---|
1997년 | 학회지 명칭 변경 『東北亞經濟硏究』제8호(1997) 발간 |
1995년 6월 15일 | 韓國北方經濟學會와 韓國東北亞經濟硏究會 통합 韓國東北亞經濟學會로 학회 명칭 변경 |
1997년~ | 학회지『東北亞經濟硏究』연 2회 발간으로 제9권 제1호(1997. 8), 제2호(1998. 2)부터 호수 변경 |
현재 | 현재 학회지『東北亞經濟硏究』연 3회 (매년 4월, 8월, 12월) 발간으로 제31권 제3호 (2019. 12)까지 발간 |
회장 및 사무국 임원
회장 : 남수중(공주대)
사무국장 : 오대원(경기대)
사무차장 : 유자영(한남대), 이중화(제주연구원), 장영희(성균중국연구소), 이가연(길림대)
2020년도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
위원장 : 김완중(동아대, wk7862@dau.ac.kr)
편집국장 : 문익준(국민대, junemoon@kookmin.ac.kr)
편집위원 :
백훈(중앙대, hoon@cau.ac.kr)
김상욱(배재대, jinxiangyu@pcu.ac.kr)
김완중(동아대, wk7862@dau.ac.kr)
남수중(공주대,sjnam@konju.ac.kr)
성시일(한림대, siil@hallym.ac.kr)
송재두(중원대, jjdsong@hanmail.net)
이혁구(배재대, leehk@pcu.ac.kr)
전호진(서울사이버대, jeonhojin@iscu.ac.kr)
최백렬(전북대, brchoi@bnu.ac.kr)
최종일(조선대, jichoe@chosun.ac.kr)
홍승린(중원대, slhong@wu.ac.kr)
Liu Rui(劉瑞, 中國人民大學, liuruiruc@yahoo.com.cn)
Nobuto Iwata(日本 靑山學院大學, iwata@busi.aoyama.ac.jp)
초대회장 김윤환 (고려대명예교수) 2대회장 김성훈 (중앙대 교수) 3대 회장 박춘삼 (국방대학원 교수) 4대회장 김태홍 (동국대 교수) 5대회장 문정구 (건국대 교수) 6대회장 심의섭 (명지대 교수) |
초대회장 엄영석 (동아대총장) 2대회장 한승수 (국회의원) 3대회장 박우희 (서울대 교수) 4대회장 김성훈 (중앙대 교수)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7대회장 박진근 (연세대 교수)
8대회장 오용석 (경성대 교수)
9대회장 강정모 (경희대 교수)
10대회장 안석교 (한양대 교수)
11대회장 김창남 (동아대 교수)
12대회장 이상만 (중앙대 교수)
13대 회장 김세영(단국대 교수)
13대 회장 김세영(재임:2002-2003)
14대 회장 주성환(건국대 교수)
15대 회장 정갑영(연세대 교수)
16대 회장 이영련(강원대 교수)
17대 회장 이창재(KIEP 동북아경제협력센터 소장)
18대 회장 윤기관(충남대 교수)
19대 회장 유희문(한양대 교수)
20대 회장 고정식(배재대 교수)
21대 회장 임천석(건국대 교수)
22대 회장 정여천(KIEP 부원장)
23대 회장 김시중(서강대 교수)
24대 회장 백권호(영남대 교수)
25대 회장 김진욱(건국대 교수)
26대 회장 장형수(한양대 교수)
27대 회장 이종철(중앙대 교수)
28대 회장 이두원(연세대 교수)
29대 회장 김정인(중앙대 교수)
30대 회장 최의현(영남대 교수)
31대 회장 이홍배(동의대 교수)
32대 회장 남수중(공주대 교수)
학술회의 및 주요 행사
1995년 6월 15일 | 통합학술회의 : 동북아 경제협력 모형의 총점검: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제7대 회장 박진근 (재임:1995-1997)
1996년 3월 23일 | 제15회 동북아경제학회 학술대회 및 1996년도 정기총회: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최고경영자교실, 동북아와 남북한: 경제적 보완성과 경쟁성 |
1997년 3월 22일 | 제16회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학술대회 및 1997년 정기총회: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신관 본관 4층 세미나실: 동아시아 3대강 개발현황과 경제적 효과: 두만강, 양자강, 메콩강 |
1997년 6월 14일 | 제1회 공동정책세미나 개최(한국동북아경제학회와 국회21세기동북아 연구회 공동 개최): 21세기 동북아 정치ㆍ경제 상황과 한반도 발전방향의 모색: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 |
1998년 2월 19/20일 | 제17차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개최: 일본 환동해(환일본해)학 회 회장을 정기학술대회에 초청 한국경제신문사 18층 다산홀: 한국의 금융위기와 동북아 경제관계 |
1998년 6월 12일 | 제2회 공동정책회의 개최(한국동북아경제학회와 국회21세기동북아연구회 공동 개최):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 |
1998년 6월 20일 | 일본의 환동해(환일본해) 학회와 교류 체결 |
1998년 10월31일 - 11월 1일 | 환동해(환일본해)학회 정기학술대회 참여: 일본 아끼다시 문화 회관 |
1999년 2월 19일 | 제18차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개최: 대외정책연구원 13층 세미나실: 아시아 경제발전 모형과 동북아 경제협력 |
1999년 6월 11일 | 제3회 공동정책세미나 개최(한국동북아경제학회와 국회21세기동북아연구 회 공동 개최): 국회본관 제3회의장 |
2000년 2월 18일 | 제19차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개최 : 대외정책연구원 13층 세미나실: 21세기 동북아경제질서와 경제구도의 변화 |
2000년 5월 26일 | 2000년 제1회 월례회 개최: 오용석 (경성대 교수): 동북아 경제 협력 구도 하에서 한반도의 발전 방향: 대한상공회의소 상의 클럽 |
2000년 6월 23일 | 국제학술세미나 개최: 해운대 그랜드호텔 6층 대회의장: 동북아 신경제질서하에서의 부산경제의 역할 |
2000년 9월 29일 | 2000년 제2회 월례회 개최: 구정모, 이현훈 (강원대 교수):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지역주의: 상위지역 협력과 하위지역협력간의 관계 모색: 대한상공회의소 상의 클럽 |
2000년 10월 27일 | 2000년 제3회 월례회 개최: 동북아 경제권의 변화라는 주제에 이창재 (KIEP) 박사가 동북아 경제 협력의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고정식 (배재대) 교수의 화남권 경제통합에 대한 논문이 발표됨: 배재대학교 21세기관 |
2000년 11월 24일 | 2000년 제4회 월례회 개최: 김정인 (중앙대) 교수의 동북아 지역의 에너 지 협력 방안이라는 논문과 박정동 (KDI) 박사의 사회주의 기업체제개혁에 관한 사례 연구라는 논문이 발표됨: 프레스센터 19층 프레스클럽 |
2001년 2월 16일 | 경제학 공동학술 대회, 제19차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개최: 남북한 관계의 변화와 동북아경제질서의 개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제12대 회장 김창남(재임: 2000-2001)
2001년 5월 29일 | 2001년 제1회 월례회 개최 : 강종희 박사(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연구실): 동북아 물류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이라는 논문과 김연명 박사(교통개발연구원): "동북아 물류 중심지화를 위한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 대한상공회의소 상의클럽 |
2001년 6월 21일 | 2001년 제2회 월례회 개최 :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Need for the Free Zone Network in the Yellow Sea Sub-Region』 김원배 박사(국토연구원)COEX 내 조선호텔 BIZBAZ |
2001년 10월 5일 | 전라북도ㆍ대외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개발세미나 개최: 『남북 경제공동체 형성과 경협 활성화를 위한 지방 정부와 기업인의 역할』: 전라북도 전주 |
2001년 11월 30일 | 배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ㆍ한국사회역사학회ㆍ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국제학술세미나 개최: 『경제적 세계화와 사회문화적 반응: 러시아,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
2002년 2월 15일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정기ㆍ국제학술대회: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동북아경제협력』: 세종문화회관 |
2002년 5월 29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3권 2호 발간 |
2002년 7월 15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4권 1호 발간 |
2002년 8월 27일 | 하계 국제 워크샾 개최(국회 헌정기념관) 주제: "한반도 미래와 동북아 경제협력" |
2002년 10월 15일 | 일본 환동해학회 학술대회 참석, 논문 2편 발표 학회장, 사무국장, 이사 1인 |
2002년 11월12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4권 2호 발간 |
2002년 11월 5일 | 사단법인 설립 허가(산업자원부 제2002-43호) |
2003년 1월 11일 | 사단법인 등기소 등록(등기번호 002683) |
2003년 2월 6일 | 사업자등록(용산세무서) 고유번호 부여받음. |
2003년 2월 21일 | 이사회, 정기총회 및 정기국제학술대회 개최 주제: "동북아 경제환경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
2003년 2월 22일 | 업무 인수인계 |
2003년 3월 15일 | 1차 운영위원회 (한국산업은행 동관 7층 대회의실), 사업계획논의, 중점사업 : 학진 등재, 학술활동 |
2003년 3월 31일 | 뉴스레터 36호 발행 |
2003년 5월 6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4권 3호 발간 |
2003년 5월 30일 | 춘계학술대회(배재대학교 21세기관) |
2003년 7월 29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5권 1호 발간 |
2003년 7월 29일 | 2차 운영위원회 (건국대 사회과학관 세미나실), 학진등재, 하계학술세미나 준비 |
2003년 7월 30일 | 『동북아경제연구』 학술진흥재단 등재를 위한 보고서 제출 |
2003년 8월 21일 | 하계학술대회(국회헌정기념관) |
2003년 8월 31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5권 2호 발간 |
2003년 9월 26일 - 29일 | 환동해(일본해)학회 국제세미나(일본, 북해도) |
2003년 10월 31일 | 뉴스레터 37호 발행 |
2003년 11월 22일 | 3차 운영위원회(한국산업은행 동관 7층 대회의실), 2004년 정기 국제학술대회 개최 논의 |
2003년12월 30일 | 『동북아경제연구』 “학술진흥재단 등재 후보지” 결정 |
2004년 2월 19일 | 『동북아경제연구』 제15권 3호 발간 |
2004년 2월 19일 | 이사회, 정기총회 및 정기국제학술대회 개최 |
2004년 3월 29일 | 업무 인수인계 |
2004년 4월 16일 | 1차 운영위원회 (새임원진 구성 승인, 사업계획논의) |
2004년 7월 5일 | 중국유미경제학회 (中國留美經濟學會, The Chinese Economists Society) 와 공동학술대회 개최 (대주제: 동북아경제의 세계화와 지역주의, Globalization and Regionalism of the Northeast Asian Economies) |
2004년 9월 1일 | 사무국 회의 |
2004년 10월 1일 - 3일 | 환일본해학회(The Association for the Japan Sea Rim Studies) 국제 세미나 (일본, 동경) 참석 |
2004년 11월 22일 | 제2차 운영위원회, ‘국회 21세기 동북아연구회 (회장:권철현 한나라당 의 원)’와 정책 세미나 (대주제: 동북아통합과 정책적 과제: 산업과 문화협력을 중심으로) |
2005년 1월 21일 | 전임회장단 초청 임원회의 |
2005년 2월 25일 | 정기총회 및 정기국제학술대회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공동 개최, 대주제: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동북아경제협력) |